728x90

컴퓨터 공학 & 통신 74

[http 통신] response(응답) status code 종류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request를 보내면,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response를 보내준다. repsonse는 Status Line, Headers, Body로 이루어져 있으며, status line에는 status code가 포함된다. status code는 request가 어떻게 처리되었는지를 세 자리 숫자로 표현한다. status code(상태 코드)만 보아도 응답의 성공 여부 등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자주 사용되는 3가지 그룹의 status code를 알아보자. 200번대: Successful responses 200: OK 요청에 대한 처리가 백엔드 서버에서 성공적으로 되었을 때의 상태 코드. 201: Created 요청이 성공적이고 그 결과로 새로운 리소스가 생성되었을 때. 일반적으로 ..

[http 통신] 인증 & 인가 - JWT

JWT란? JWT(JSON Web Token)는 클라이언트(사용자)와 서버 간에 정보를 JSON 개체로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한 개방형 표준(RFC 7519)이다. JWT는 JSON 개체에 기본정보, 전달할 정보, 검증 정보를 모두 담고 있다. 또한, JWT는 전자 서명이 되어있기 때문에 검증 과정을 거쳐 확인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Secret Key 또는 Public/Private Key Pair를 사용하여 서명할 수 있다. JWT의 구조 JWT는 Header, Payload, Signature 3가지 구성 요소로 이루어지며, 각 구성 요소는 dot (.)으로 구분된다. 1. Header Header는 JWT의 첫번째 구성 요소이고, 일반적으로 2가지 정보를 담고 있다. alg : Signature을 만..

[터미널] Linux Command 자주 쓰는 명령어

명령어 이름 설명 사용 방법 cd change directory 경로 이동 cd '경로' ls list segments 현재 경로 내 목록 출력 ls -al로는 숨겨진 파일까지 확인 가능 pwd print working directory 현재 경로 출력 mkdir/rmdir make/remove directory 디렉토리 생성/제거 mkdir '생성할 디렉토리 이름' rm remove 파일/디렉토리 제거 rm '삭제할 것의 이름' cp copy 파일/디렉토리 복사 cp '원래 파일' '새로운 파일 이름'; cp '원래 파일' '복사해서 넣을 디렉토리'; cp '원래 파일' '복사해서 넣을 디렉토리'/ '새로운 파일 이름'; mv move 파일/디렉토리 이동 mv '원래 파일' '바꿀 이름' mv '파일'..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