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서비스는 크게 IaaS, PaaS, Saas 3 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
IaaS (Infrastructure-as-a-Service)
IaaS는 인프라형 클라우드 서비스이다.
단순 인프라 (구축 환경)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node.js, MySQL 등 필요한 프로그램을 개발자가 직접 설치해야 한다.
일종의 빈 방을 제공하는 서비스라고 이해할 수 있다.
특정 서비스에 종속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대표적인 서비스로는 AWS의 EC2, NCP 등이 있다.
PaaS (Platform-as-a-Service)
PaaS는 플랫폼형 클라우드 서비스이다.
플랫폼이란, 인프라에 node.js와 MySQL이 이미 설치되어있거나, 사용자가 단순 클릭 등을 통해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방식이다.
주로 모니터링, 로깅, CI/CD 기능들이 제공된다.
일종의 빌트인 되어 있는 방처럼 생각할 수 있다.
대표적인 서비스로는 AWS의 Elastic Beanstalk, heroku 등이 있다.
Saas (Software-as-a-Service)
SaaS는 서비스형 클라우드 서비스이다.
추가적인 개발이 필요하지 않은 완전한 서비스를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사용하는 방식이다.
대표적으로 구글 DOCS가 있다.
특정 하드웨어에 종속되지 않고, 다른 컴퓨터에서도 쉽게 작업하며 다른 이들과 실시간 공유 작업도 가능하다.
IaaS VS PaaS
IaaS | PaaS | |
유연성 | 높음 | 낮음 |
이식성 | 높음 | 낮음 |
운영비 효율 | 낮음 | 높음 |
유연성, 이식성
IaaS는 인프라 내 서비스들이 특정 서비스에 종속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하기 유연하며 이식이 쉽다.
반면 PaaS는 해당 서비스에서 사용하는 서비스/프로그램들이 그 서비스에 종속되기 때문에 유연성이 떨어지고 이식이 상대적으로 어렵다.
운영비 효율
PaaS는 클릭 몇 번으로 필요한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등 초기 설정 비용이 적게 든다.
IaaS는 자유도가 높기 때문에 그 반대다.
참고: inflearn 강의 'CS 지식의 정석 - 큰돌'
'컴퓨터 공학 & 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념 정리] CI/CD (0) | 2023.06.30 |
---|---|
[개념 정리] 클라우드 - 컨테이너, 도커 (0) | 2023.06.29 |
[개념 정리] 클라우드 - 가상 머신, 오프프레미스/온프레미스 (0) | 2023.06.28 |
[개념 정리] API (0) | 2023.06.27 |
[개념 정리] XML (0) | 2023.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