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http 메서드는 아래와 같은 종류가 있다.
굵은 글씨로 표시된 메서드들이 가장 흔히 사용된다.
- GET
- POST
- PUT
- HEAD
- DELETE
- PATCH
- OPTIONS
- CONNECT
- TRACE
주요한 5가지 메서드 GET, POST, PUT, PATCH, DELETE에 대해 알아보자.
GET
데이터를 읽기 요청
- body를 사용할 수 없어, url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요청한다.
- url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2000자 미만 길이 제한이 있다.
- 성공 시 status code 200
- 캐싱이 가능하다.
- url을 기반으로 하여 요청 파라미터가 브라우저 기록에 남는다.
- url을 기반으로 하여 ASCII문자열만 보낼 수 있다.
- 사용자 이름, 비밀번호 등 민감한 정보를 전달할 때는 사용하지 않는다.
POST
데이터 생성 요청
- body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 body로 데이터가 전달되어, 길이 제한이 없다.
- 성공 시 status code 201 또는 200
- 캐싱 불가능
- url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요청 파라미터가 브라우저 기록에 남지 않는다.
- ASCII문자열 외에도 몯느 유형의 데이터를 담아 요청할 수 있다.
- 사용자 이름, 비밀번호 등 민감한 정보를 전달할 때 사용한다.
PUT
데이터 수정 요청, 업데이트하는 데이터의 전체를 보낸다.
일부만 수정하고 싶더라도, 해당 데이터의 전체를 보내야 한다.
해당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새로 생성하고, 있다면 보낸 데이터와 교체한다.
예를 들어, {"a": 1, "b": 2} 가 있다면, b만 3으로 바꾸더라도
{"a": 1, "b": 3}와 같이 전체 데이터를 보내야 한다.
PATCH
데이터 수정 요청, 업데이트하는 데이터의 일부를 보낸다.
수정하고 싶은 부분만 보낼 수 있으며, 일부의 교체를 의미한다.
{"a": 1, "b": 2}에서, b만 3으로 바꾸고 싶다면 {"b": 3}만 보내면 된다.
DELETE
삭제 요청
GET과 마찬가지로 요청 시 body를 사용하지 않고,
성공 시 status code는 204이다.
204 status code는 응답 body를 함께 보낼 수 없다.
참고: inflearn 강의 'CS 지식의 정석 - 큰돌'
728x90
'컴퓨터 공학 & 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키워드 정리/네트워크] 유선 LAN, 무선 LAN 관련 용어 정리 (0) | 2023.07.19 |
|---|---|
| [키워드 정리/네트워크] 네트워크 계층별 기기/장치 정리 (0) | 2023.07.19 |
| [개념 정리] 로그인 - 세션 기반 인증 VS 토큰 기반 인증 (0) | 2023.07.18 |
| [개념 정리] 웹브라우저 캐시 - 로컬 스토리지, 세션 스토리지, 쿠키 비교 정리 (1) | 2023.07.17 |
| [개념 정리/네트워크] HTTPS와 TLS - 핸드 셰이크 (0) | 2023.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