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 정리] 네트워크 - 주요 용어 정리
네트워크(Network)
네트워크란 노드(node)와 링크(link)가 서로 연결되어
리소스를 공유하는 집합을 말한다.
- 노드: 서버, 라우터, 스위치 등 등 네트워크 장치
- 링크(엣지): 와이파이, LAN과 같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 매체
트래픽(Traffic)
트래픽은 특정 시점에 링크 내에서 흐르는 데이터의 양을 말한다.
예를 들어, 서버에 저장된 문서, 이미지, 동영상 등의 파일을 클라이언트(사용자)가 다운로드 받을 경우
발생하는 데이터의 누적량이 트래픽이다.
트래픽은 영어로 교통의 통행량이라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링크라는 길에서 데이터의 통행량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트래픽과 처리량은 혼동될 수 있는데, 아래와 같이 구부할 수 있다.
- 트래픽이 많아졌다. == 흐르는 데이터가 많아졌다.
- 처리량이 많아졌다. == 처리되는 트래픽이 많아졌다.
트래픽의 단위로는 bps(bits per second)를 사용한다.
* bps: 초당 전송 또는 수신되는 비트 수
트래픽의 예로, 만약 100KB의 이미지를 1,000명이 다운로드 한다면 누적 트래픽은
100KB * 1,000 = 100,000KB(100MB)가 된다.
10MB 동영상을 10명이 다운로드 받으면 누적 트래픽은 10MB * 10 = 100MB가 된다.
처리량(Throughput)
처리량은 링크를 통해 성공적으로 전달된 데이터의 양을 말하며,
보통 얼마만큼의 트래픽을 처리했는지를 말한다.
처리량의 단위는 트래픽과 동일하게 bps(bits per second)를 사용한다.
처리량은 사용자들이 많이 접속할 때마다 커지는 트래픽,
네트워크 장치 간의 대역폭,
네트워크 중 발생하는 에러,
장치의 하드웨어 스펙 등에 영향을 받는다.
대역폭(Bandwidth)
대역폭은 주어진 시간 동안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흐를 수 있는 최대 비트 수를 말한다.
최대로 처리할 수 있는 트래픽이라고도 볼 수 있다.
교통량과 고속도로 차선의 개수처럼,
대역폭이 높을 수록 사용자에게 더 빠른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대역폭은 최대 동시 접속자 수를 유추하는 척도로도 사용된다.
대역폭의 단위 역시 bps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100Mbps 대역폭을 가진 서버에 사용자당 100kbps로 동영상 파일을 요청한다면,
최대 동접자수는 약 1000명이라고 추산할 수 있다.
RTT(Round Trip Time)
RTT는 Round Trip Time의 약자로, 왕복 지연 시간을 의미한다.
신호를 전송하고, 해당 신호의 수신확인에 걸리는 시간을 더한 값이다.
어떤 메시지가 두 장치 사이를 왕복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라고 볼 수 있다.
참고: inflearn 강의 'CS 지식의 정석 - 큰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