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공학 & 통신

[개념 정리/네트워크] 공인IP VS 사설IP, NAT

왈왈디 2023. 7. 13. 12:38
728x90

IP주소가 부족한 상황에서

공인IP(public IP)와 사설IP(private IP)를 구분하고,

중간에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기술을 사용하여 IP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한다.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NAT는 패킷이 트래픽 라우팅 장치를 통해 전송되는 과정에서

패킷의 IP주소를 변경하고, IP주소를 다른 IP주소로 매핑하는 방법이다.

 

사설IP가상의 IP로, 동일한 공인IP를 사용하는 호스트끼리는 구별되지만

외부에서는 하나의 공인IP로 보여진다.

 

NAT를 통해 내부 네트워크 IP가 노출되지 않는 것이 보안상 장점이다.

 

실생활에서 인터넷 회선 하나를 개통하여

공유기를 사용해 wifi를 만드는데,

이 경우 여러 대의 호스트가 하나의 공인 IP주소사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는 것이다.

공유기 상세 설명을 살펴보면 NAT 기능을 제공한다고 명시된 것을 볼 수 있다.

 

참고: inflearn 강의 'CS 지식의 정석 - 큰돌'

728x90